일러스트레이션 신이경

게임·먹방 예능 등 유명 유튜버 보유, 탄탄대로
유병재 합류로 ‘엔터거인’줄달음질

바야흐로 유튜버 시대다. 유튜브가 아니다. 유튜버다. 라디오 스타가 지고 TV스타가 뜬 것처럼, 유튜버 스타들이 뜰 날이 머지 않았다. 아니 이미 오고 있다. 

얼마전 개그맨 유병재의 소식이 언론을 장식했다. 유병재가 소속사를 옮긴 뉴스다. 연예인들이 소속사를 바꾸는 일이야 늘상 있는 일이고, 연예 뉴스를 장식하면 그만이다. 그런데 유병재 소식은 유독 경제 언론과 IT업계도 주목했다. 이유가 뭘까. 

그건 유병재가 연예소속사가 아닌 유튜버들의 소속사로 옮겨갔기 때문이다. 유병재는 지난달 말 ‘YG엔터테인먼트’와 이별하고 대신 ‘샌드박스네트워크’라는 생소한  멀티채널네트워크 기업으로 들어갔다. 멀티채널네트워크란 1인 방송 창작자들을 종합적으로 지원해주는 일종의 매니지먼트 서비스다. 샌드박스네트워크도 생소하지만 멀티채널네트워크라는 서비스도 낯설다. 어느 게 더 생소한지 모를 정도다. 일부에선 이를 두고 유병재가 ‘손절’을 했다고 평가했다. 현재로선 그럴지도 모른다. 하지만 유병재는 미래를 봤다.

멀티채널네트워크는 가장 핫한 서비스 중 하나다.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 이미 유튜버들의 인기는 상상을 초월한다. 초등학생들은 가장 선망하는 직업 1위로 ‘유튜버’를 꼽는다. 실제 게임 관련 콘텐츠로 인기몰이를 하고 있는 유튜버 ‘도티(본명 나희선)’는 ‘초통령(초등학생들의 대통령)’으로 불릴 정도다. 

도티는 팔로어 250만명, 누적 조회수 23억뷰를 보유하고 있으며, 유튜브 광고로 얻는 수입은 연간 15억원에 이르는 걸로 알려졌다. 게다가 1인 매출이다. 누구라도 혹하지 않을 수 없다. 너도나도 카메라를 들고 골드러시에 나섰다. 

그런데 여기, 또다른 기회를 포착한 이들도 있다. 유튜버 인기가 연예인 뺨 칠 정도라면, 유튜버들에게도 연예인급 서비스가 필요하지 않을까? 창작을 지원하고, 저작물을 관리해주는 전문 서비스도 돈이 되지 않을까? 미국 서부 골드러시 때도 정작 큰 돈을 번 건 채굴업자가 아니다. 곡괭이를 제공하고, 청바지를 만들고, 돈을 관리해준 이들이다. 이필성 샌드박스네트워크 대표도 금보다 인프라에 베팅했다. 

창업 전 이필성 대표는 구글에서 일했다. 광고 제휴 분야다. 인터넷과 모바일 트렌드의 중심부에서 일하던 이필성 대표는 ‘동영상 콘텐츠’의 가능성에 주목하며 새로운 시장 기회를 노렸다. 그러던 중 문득 도티를 떠올렸다. 둘은 연세대학교 ‘수시입학 동기’다. 일찌감치 유튜브 크리에이터로 나선 도티는 1인 창작의 어려움을 속속들이 잘 알고 있었다. 콘텐츠를 기획하는 일부터 제작, 편집, 송출까지 모두 혼자 하다 보니, 도움의 손길이 절실했다. 2014년 만난 이 둘은 곧바로 의기투합, 샌드박스네트워크를 차렸다. 

 

대형게임사와 다양한 협업 시도

단순히 제작 지원을 하는 회사라면 샌드박스네트워크는 그다지 주목받지 못 했을 수도 있다. 어쩌면 도티조차 이필성 대표와 손잡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샌드박스네트워크는 도티 같은 크리에이터에게 보다 큰 비전을 제시했다. 창업 전 도티가 가장 힘들었던 건 인프라의 부족이 아니었다. 세간의 편견이 더 문제였다. 구독자조차 ‘별풍선(일종의 캐시 선물)에 영혼을 판다’, ‘콘텐츠가 형편없다’며 크리에이터를 폄훼하기 일쑤였다. 

1인 창작이다 보니 어디 하소연할 데도 없었다. 샌드박스네트워크는 이같은 빈틈을 파고 들었다. 크리에이터들의 사회적 지위를 확보하고, 서로 소통하며 교류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제공하겠다는 미션으로 창작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샌드박스네트워크에겐 시작부터 강한 경쟁자가 있었다. 창업 1년 전 CJ ENM이 ‘다이아TV’를 만들어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다. 다이아TV는 자본이라는 무시무시한 무기가 있었다. 잘나가는 1인 크리에이터를 영입하고 공격적인 투자를 이어갔다. 

이필성 대표는 그러나 두렵지 않았다. 둘이 공존하고도 남을 정도로 시장이 클 거라 확신했다. 그리고 샌드박스네트워크에겐 스페셜티가 있었다. 도티가 게임 분야에서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만큼 이를 요새 삼아 게임 콘텐츠 분야의 시장을 공략했다. 게임 분야의 크리에이터들과 파트너십을 맺고 창작 활동을 지원했다. 때마침 게임 시장에도 변화의 훈풍이 불어 오고 있었다.

당시 국내 게임 시장은 온라인에서 모바일로 패권이 넘어가고 있었다. 썬데이토즈, 데브시스터즈 등 신생 게임 개발사들이 애니팡, 쿠키런 같은 모바일 게임으로 대박을 쳤다. 넥슨, 넷마블 같은 대형 게임사들도 모바일로 무게 중심을 옮겨갔다. 샌드박스네트워크는 이들 게임사들과 함께 다양한 협업을 시도했다. 유튜브 동영상 내에서 앱을 다운로드하거나 광고하고 또 컬래버레이션 콘텐츠를 제작하며 산업 저변을 넓혀갔다. 

게임 콘텐츠 분야에서 뿌리를 내린 샌드박스네트워크는 이후 다양한 영역으로 손을 뻗쳤다. 먹방 예능 키즈 등 다양한 분야로 저변을 넓혔고, 현재는 다이아TV에 이어 업계 2위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200여명의 1인 크리에이터가 함께 일하고 있으며, 샌드박스네트워크 소속 크리에이터가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의 구독자를 합하면 1000만 명이 훌쩍 넘고, 월간 조회수는 20억 건에 이른다.

 

1인창작자 받들어 모시기가 성공비결

성공의 비결은 크리에이터를 최우선으로 하는 문화 덕분이다. 콘텐츠 생산은 전적으로 크리에이터 자신에게 맡기고 일절 간섭하지 않는다. CCO(최고 콘텐츠 책임자)인 도티는 자신의 경험을 살려 크리에이터 중심의 기업을 지향하고 있다. 크리에이터들 사이에는 샌드박스네트워크가 ‘꼭 가고 싶은 MCN’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필성 대표는 ‘크리에이터를 받들어 모시는 것’이야말로 샌드박스네트워크의 변하지 않는 철학이라고 말한다.

샌드박스네트워크는 사업 모델을 다각화하고 있다. 기본 모델은 매니지먼트다. 전속 크리에이터들의 활동 전반을 지원하는 대신 수익을 나눠 갖는다. 

그 밖에도 크리에이터의 지적재산권을 활용한 굿즈(Goods) 사업, 콘텐츠의 유통, e스포츠 팀 창단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기존 브랜드의 유튜브 콘텐츠를 기획하고 제작해주는 사업도 시작했다. 유튜브 플랫폼이 뜨면서 많은 마케터들이 유튜브를 자사 브랜드나 제품을 홍보하는 홍보 수단으로 주목하고 있다. 

샌드박스네트워크가 개설한 ‘직방TV’가 대표적 사례다. 직방TV는 샌드박스네트워크가 부동산 O2O 기업 ‘직방’과 함께 제작 운영 중인 유튜브 방송으로 ‘부동산 초고수들의 실전부동산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최근엔 KB국민카드와 공동마케팅을 기획 중이다. 유튜브 제작 시스템과 금융 서비스를 연계해 공동 마케팅을 하고, 1인 크리에이터에게 금융 인프라를 지원하는 등 다양한 협력을 모색 중이다.

재무적 성과도 주목할 만하다. 첫해 9억원에서 시작한 연매출은 이듬해인 2015년 58억원, 2017년 140억원, 지난해 280억원으로 늘었다. 하지만 지난해 영업적자는 20억원. BEP 도달에 급급하지 않고 인력과 마케팅 등에 투자하며 기초체력을 키우는 데 우선하고 있다. 올해 매출 목표는 500억원이다.

투자유치도 순조롭다. 올초 250억원을 유치하는 등 누적액 400억원을 투자 받았다. 게임개발사 외에도 TBT,크레스코레이크파트너스, DS자산운용, NVC파트너스 등 유수 기관투자자들이 참여하고 있다. 

비단 돈뿐이랴. 재능 있는 크리에이터들의 동참 역시 샌드박스네트워크의 미래를 밝혀주고 있다. 장삐쭈(만화더빙), 떵개떵(먹방), 라온(음악) 그리고 이번엔 개그맨 유병재(코미디)까지. 유병재는 방송활동과 함께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고 있으며, 구독자수는 67만명에 이른다. 유병재의 합류는 샌드박스네트워크의 이름을 대중에 알리는 데 큰 역할을 했다. 혹자는 말한다. 샌드박스네트워크가 SM이나 JYP, YG엔터테인먼트를 넘어설 거라고. 아니 혹시 알랴. 디즈니 만큼 커질지.  

 

- 차병선기업전문칼럼니스트

- 일러스트레이션 신이경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